Tegi Log : 블록체인, 축구, 소레어, Sorare 컨텐츠망상공간
#JavaScript - 시간 지연, 딜레이를 주고 싶다면? setTimeOut() 함수 본문
반응형
setTimeout()이란?
일정시간이 지난 후 무엇인가 실행시키고 싶을때 쓰이는 함수입니다.
(딜레이 시키고 싶을때)
setTimeout()은 timeoutID라는 양의 정수를 반환하는데,
setTimeout()이 생성한 타이머를 식별할 때 사용한다고 합니다.
(이 값을 clearTimeout()에 전달하면 setTimeout()의 타이머를 취소할 수 있습니다.)
복잡한거같으니 일단 보죠.
setTimeout(호출할 함수, 딜레이시간);
setTimeout()의 딜레이시간은 밀리세컨드로 표현합니다.
( 1000 = 1초, 2000 = 2초 )
setTimeout(function(){
console.log('1초 지연 성공!');
}, 1000);
1초가 지나면 콘솔로그를 호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setTimeout(() => {console.log("1초 지연 성공!")}, 1000);
화살표함수로도 간단하게 표현해보자.
앞서 말한대로 setTimeout()의 타이머를 정지시킬 수 있는 함수가 존재합니다.
바로,
clearTimeout() 함수
setTimeout()가 메모리에 남아있으면 성능저하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.
적절하게 clearTimeout()을 활용하세요.
const myTimer= setTimeout(function(){console.log('1초 지연 성공!');}, 1000);
clearTimeout(myTimer);
clearTimeout()에 의해서 setTimeout()이 정지되고
콘솔로그에 '1초 지연 성공!'이 뜨지 않게 된다.
반응형
'Development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JavaScript - querySelectorAll으로 for문 돌렸을때의 에러 ( querySelectorAll으로 배열만들기 (0) | 2022.06.30 |
---|---|
#JavaScript - 함수를 간결하게 써보자! 화살표 함수 (0) | 2022.06.30 |
#JavaScript - innerHTML과 innerText의 차이가 뭘까? (0) | 2022.06.30 |
#JavaScript - 익명함수가 뭘까? (0) | 2022.06.30 |
#JavaScript - 원하는 엘리먼트를 가져오자 querySelector(), querySelectorAll() (0) | 2022.06.29 |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