Tegi Log : 블록체인, 축구, 소레어, Sorare 컨텐츠망상공간
#JavaScript - 함수를 간결하게 써보자! 화살표 함수 본문
반응형
💡 코딩강의를 보다보면 자주 보이는 화살표 함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매개변수가 없는 화살표함수
매개변수가 없다면 ()로 매개변수가 없는 것을 표현해주자.
//매개변수가 없는 화살표함수. ()를 표시해준다.
const noParameter = () => console.log('매개변수 없는 화살표함수');
//화살표로 표현한 익명함수이기 때문에 변수명으로 호출
noParameter();
매개변수가 하나인 화살표함수
매개변수가 하나라면 () 대신 매개변수를 적어주면 된다.
//매개변수가 하나일때 () 대신 매개변수를 써준다.
const oneParameter = parameter => console.log(parameter);
//변수명으로 호출하고 인자를 전달!
oneParameter('매개변수가 하나일때');
매개변수가 여러개인 화살표함수
매개변수가 어러개라면 소괄호로 매개변수를 묶어서 입력해준다.
//매개변수가 여러개일때 소괄호로 묶어 매개변수를 적어준다.
const multiParameter = (a,b) => a+b;
//변수명으로 출력하면 6으로 반환된 모습을 볼 수 있다.
console.log(multiParameter(4,2));
식이 여러개인 화살표함수
식이 여러개일 경우 중괄호로 묶어준다.
//여러개의 식이 존재할때 중괄호로 묶어준다.
const multiParameter = (a,b) => {
let plus3a = 3+a;
plus3a += b;
return plus3a;
};
//인자를 전달하면 14가 반환되는 것을 볼 수 있다.
console.log(multiParameter(4,7));
반응형
'Development > JavaScrip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#JavaScript - Array 배열 생성과 사용법 (0) | 2022.07.01 |
---|---|
#JavaScript - querySelectorAll으로 for문 돌렸을때의 에러 ( querySelectorAll으로 배열만들기 (0) | 2022.06.30 |
#JavaScript - innerHTML과 innerText의 차이가 뭘까? (0) | 2022.06.30 |
#JavaScript - 익명함수가 뭘까? (0) | 2022.06.30 |
#JavaScript - 원하는 엘리먼트를 가져오자 querySelector(), querySelectorAll() (0) | 2022.06.29 |
Comments